Amazon EC2AWS(Amazon Web Services)의 클라우드 기반 가상 서버 서비스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컴퓨팅 리소스를 생성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EC2를 활용하면 Docker, Python, Django, Nginx 등 원하는 스택을 자유롭게 구성하여 맞춤형 서버 환경을 구축할 수 있으며, AWS의 다양한 서비스(RDS, Route 53, S3 등)와의 연동이 용이하다.


✅ 프로젝트에서 EC2를 선택한 이유

1️⃣ 유연한 서버 환경 구축

  • EC2에서는 원하는 OS(예: Ubuntu, Amazon Linux, Windows 등)를 선택하여 맞춤형 배포 환경을 구성할 수 있음.
  • Docker를 활용하여 컨테이너 기반의 배포 및 서비스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음.
  • Python, Django, Gunicorn, Nginx 등을 직접 설정하여 백엔드 API 서버를 최적화할 수 있음.
  • AWS 프리 티어(Free Tier)를 활용하면 일정 기간 동안 무료로 사용할 수 있어 초기 비용 부담이 적음.

2️⃣ 보안 및 트래픽 관리 용이

  • AWS Load Balancer(ELB)를 활용하여 다수의 서버 간 트래픽을 분산할 수 있음.
  • AWS Certificate Manager(ACM)를 통해 SSL 인증서를 무료로 적용하여 HTTPS 보안을 강화할 수 있음.
  • 보안 그룹(Security Group) 및 IAM 역할(Role)을 활용하여 접근 제어와 보안 정책을 세밀하게 설정 가능.
  • VPC(Virtual Private Cloud)를 사용하면 네트워크를 분리하여 보다 안전한 환경을 구성할 수 있음.

3️⃣ 데이터베이스 및 네트워크 연동 강화

  • Amazon RDS(Relational Database Service)를 활용하면 EC2와 분리된 데이터베이스 관리가 가능하여, 자동 백업 및 장애 복구를 지원받을 수 있음.
  • Amazon Route 53을 사용하면 도메인 관리 및 트래픽 라우팅을 최적화할 수 있음.
  • EC2와 S3(스토리지 서비스) 연동을 통해 파일 업로드 및 정적 자원 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 가능.

4️⃣ 확장성과 유지보수 편의성

  • EC2의 오토스케일링(Auto Scaling) 기능을 활용하면 트래픽 증가 시 자동으로 인스턴스를 추가하여 부하를 분산할 수 있음.
  • 기존 온프레미스(자체 서버)와 비교했을 때, 초기 구축 비용이 절감되며, 필요한 만큼만 인스턴스를 운영할 수 있어 유지보수 비용도 절감 가능.

✅ Amazon EC2 vs 온프레미스 서버 비교

  Amazon EC2 (클라우드) 온프레미스 (자체 서버 구축)
초기 비용 초기 비용 없음 (사용한 만큼 과금) 서버 구매 비용 발생
확장성 Auto Scaling으로 손쉬운 확장 하드웨어 추가 필요
유지보수 AWS에서 하드웨어 관리 직접 서버 유지보수 필요
보안 AWS의 보안 기능 활용 가능 별도 보안 솔루션 필요
백업 및 복구 자동 백업 및 복구 가능 수동 설정 필요

Amazon EC2는 유연한 서버 환경, 보안, 확장성, 데이터베이스 연동 등 다양한 이점을 제공하여, Django 기반 API 서버를 배포하고 운영하는 데 최적화된 솔루션이다.
또한 온프레미스 서버 대비 초기 비용이 절감되며, 트래픽 증가 시 자동 확장할 수 있어 프로덕션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운영 가능하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