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BS(Work Breakdown Structure, 작업 분할 구조)란?
WBS(작업 분할 구조) 는 프로젝트를 작은 단위의 작업(Task)으로 세분화 하여 체계적으로 관리 하는 방법이다.
즉, 프로젝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수행해야 할 작업들을 계층적으로 정리한 구조도.
큰 프로젝트를 작은 조각으로 쪼개어 누가, 언제,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정리하는 것!
1. WBS의 주요 개념
🔹 1) 작업 분할 (Work Breakdown)
- 프로젝트를 작은 단위의 작업(Task)으로 나누는 과정
- 각 작업이 명확하고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정의해야 함
🔹 2) 계층적 구조 (Hierarchy)
- WBS는 트리(Tree) 구조 형태로 표현됨
- 상위 작업 → 하위 작업 순으로 점점 더 세부적으로 나눔
🔹 3) 100% 규칙 (100% Rule)
- WBS의 모든 하위 작업을 합치면 상위 작업이 완성되어야 함
- 즉, 작업을 나눌 때 빠진 부분이 없어야 함
2. WBS의 구성 요소
WBS는 보통 4~5단계 구조로 구성됨.
예를 들어 "웹사이트 개발 프로젝트" 를 WBS로 만든다면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WBS 예제: 웹사이트 개발
1. 웹사이트 개발 프로젝트
├── 1.1 기획
│ ├── 1.1.1 요구사항 분석
│ ├── 1.1.2 프로젝트 일정 수립
│ ├── 1.1.3 리소스 할당
│
├── 1.2 디자인
│ ├── 1.2.1 UI/UX 설계
│ ├── 1.2.2 와이어프레임 제작
│ ├── 1.2.3 디자인 시안 확정
│
├── 1.3 개발
│ ├── 1.3.1 프론트엔드 개발
│ ├── 1.3.2 백엔드 개발
│ ├── 1.3.3 데이터베이스 구축
│
├── 1.4 테스트
│ ├── 1.4.1 기능 테스트
│ ├── 1.4.2 성능 테스트
│ ├── 1.4.3 사용자 테스트
│
├── 1.5 배포 및 유지보수
├── 1.5.1 서버 배포
├── 1.5.2 버그 수정
├── 1.5.3 추가 기능 개발
WBS 계층 구조
1️⃣ 1단계 → 프로젝트 전체 (웹사이트 개발 프로젝트)
2️⃣ 2단계 → 주요 업무 (기획, 디자인, 개발, 테스트, 배포)
3️⃣ 3단계 → 하위 업무 (요구사항 분석, UI/UX 설계, 프론트엔드 개발 등)
4️⃣ 4단계 → 상세 작업 (와이어프레임 제작, API 개발 등)
이런 식으로, 상위 작업에서 하위 작업으로 세분화하여 task를 나누는 것!
3. WBS의 장점
✅ 1) 프로젝트 일정 관리가 쉬워짐
- 작업 단위를 나누면 어떤 작업을 언제까지 해야 하는지 명확해짐
- 일정 지연이 발생하면 어느 부분이 문제인지 쉽게 파악 가능
✅ 2) 역할과 책임(R&R)이 명확해짐
- 누가 어떤 작업을 담당하는지 정리할 수 있음
- 업무 중복이나 누락을 방지할 수 있음
✅ 3) 프로젝트 리스크 관리가 쉬워짐
- 작업을 세분화하면 어떤 단계에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지 사전에 예측 가능
- 리스크를 줄일 수 있음
✅ 4) 팀원 간 협업이 원활해짐
- 전체 프로젝트를 한눈에 볼 수 있어 팀원 간 커뮤니케이션이 쉬워짐
- 각각의 작업이 어떻게 연결되는지 이해할 수 있음
4. WBS 작성 방법
✅ WBS 작성 4단계
1️⃣ 프로젝트 목표 정의
- 프로젝트에서 수행해야 할 최종 목표를 명확하게 설정
2️⃣ 주요 업무(Deliverables) 도출
- 프로젝트를 달성하기 위해 수행해야 할 핵심 업무(기획, 개발, 디자인 등) 를 나열
3️⃣ 세부 작업(Task)으로 분할
- 각 업무를 더 작은 단위의 작업(Task) 으로 세분화
- 100% 규칙을 지켜야 함
4️⃣ 순서 및 의존 관계 정리
- 어떤 작업이 먼저 수행되어야 하는지 정리
- (예: 디자인 → 개발 → 테스트 → 배포)
5. WBS 작성 도구
WBS는 다음과 같은 무료 도구를 사용하여 작성할 수 있다.
✅ 엑셀 (Excel)
- 가장 간단하게 WBS를 작성할 수 있음
- 목록 형태로 정리하거나 Gantt 차트와 함께 사용 가능
✅ Trello / ⭐️ Jira
- Kanban 방식 으로 WBS를 작성하고 관리 가능
- 애자일(Agile) 방식의 프로젝트 관리 에 적합
✅ ClickUp / Asana / Monday.com
- 팀원과 협업하며 WBS를 작성하고 태스크 관리 가능
- 작업 상태(진행 중, 완료 등)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가능
✅ WBS 전용 툴
- draw.io → WBS 다이어그램 작성
- Lucidchart → 계층적 WBS 설계 가능
6. WBS 작성 시 주의할 점
✅ 1) 100% 규칙 준수
- 상위 작업이 완료되려면 하위 작업이 모두 완료되어야 함
✅ 2) ⭐️ 너무 세부적으로 쪼개지 않기
- 작업 단위가 너무 작으면 관리가 어려움
- 보통 작업(Task) 단위는 1~2주 안에 완료될 크기가 적당
✅ 3) ⭐️ 의존 관계를 고려하여 작성
- 한 작업이 끝나야 다음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경우 → 의존 관계를 표시해야 함
✅ 4) 역할과 책임을 명확히 정하기
- 누가 어떤 작업을 담당하는지 명확하게 설정해야 함
'TIL(Today I Learned)'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138일 차 (googlemaps) (0) | 2025.03.07 |
---|---|
TIL 136일 차(벡터 DB 용 문서 로드하기 : 여러 개의 문서 or 하나의 문서) (0) | 2025.03.05 |
TIL 134일 차(ERD: Entity-Relationship Diagram) (0) | 2025.03.03 |
TIL 132일 차 (Auto RAG(1)) (0) | 2025.03.01 |
TIL 131일 차 (SaaS: Software as a Service) (0) | 2025.02.28 |